전체 글 1534

''여생지락(餘生之樂)''

'''여생지락(餘生之樂)''이란  말이 있습니다 문자(文子) 그대로  "남은 인생 즐겁게 살자!" 라는  뜻입니다.  ‘공자'(孔子)도 이르기를 "즐기는 자가 최고(최고)"라고 했고,  ‘로마'의 정치가였던 '키케로'는  “젊은이 같은 노인을 만나면 즐겁다" 라고 했습니다.  나에게  재물(財物)이 아무리 많아도  '인생'을 즐기지 못하면,  그것은 균형 잡힌 삶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매 순간  '인생'과  '풍경'을  즐기는 것은  '지혜로운 삶'의 비결입니다.  바쁘다고 서둘러 지나치지 말고,  ‘인생'이라는 길의  '아름다운 풍경'을  즐겨보면서 살다가면 어떻겠습니까.  '가을'을 기다리느라  '봄날'의 포근함을  놓치고 살지 않아야합니다.  '겨울'이 되어서야 푸르렀던 '여름'을 그리워하며 살..

좋은글 2024.06.30

우리 인생의 마지막 풍경

** 우리 인생의 마지막 풍경                               70대 후반의 지인이 지난해 늦여름 넘어져서 다리뼈가 부러졌다.  대학병원에서 수술을 받았지만 그곳에선 장기간 입원을 할 수 없어 서울 강남에 있는 요양병원에 입원했다.  그러다 두 계절을 보내고 며칠 전 퇴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탓에 입원기간 동안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었다.  병문안도 제한돼 수시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거나 가끔 먹거리를 보내드릴 뿐이었다. 무사히 집으로 돌아온 지인은 병상에서 인생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다고 한다.  지인에 따르면 70∼90대의 노인들이 모인 요양병원에서는 사람을 판단하는 기준이 다르다.  박사건 무학이건, 전문직이건 무직이건, 재산이 많건 적건..

좋은글 2024.06.30

중풍의 전조증상

💚《중풍신호 기억하기》😚😊☺️ 💖※중풍의 전조증상💖 (꼭 기억해놓으세요) 1. 손발이 저리거나 힘이 없어진다. 엄지와 검지가 더 저리다. 2. 말이 어눌해지거나 뒷목이 뻣뻣해진다. 3. 중풍으로 쓰러지면 한시라도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 발병한지 오래 될수록 치료가 어렵고 회복된다고 해도 시간이 오래 걸린다.  ※ 다양한 경고 보내는 '중풍' 평생 걸리지 않는 예방법  *첫째: 감자와 고구마를 많이 먹는다. 감자와 고구마에는 중풍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포타슘' 성분이 들어 있다. 포타슘은 칼슘의 한 종류로 토마토, 곶감, 시금치, 귤, 근대 같은 야채나 과일에 많이 들어 있다. 포타슘은 몸 안에 있는 소금이 빨리 배설되게 하여 혈압이 올라 가는 것을 막는다.    *둘째: 무리하지 않..

좋은글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