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용근 101

사군자(四君子)와 인품(人品)

--사군자(四君子)와 인품(人品)-- 동물이나, 식물이나, 생명체에는 독특한 향기(香氣)나 냄새가 있습니다. 동물에게는 짐승에 따라 각각 다른 냄새가 있고, 식물도 종류에 따라 다른 냄새가 있는데 우리는 그것을 가르켜 "향기(香氣)" 라고 합니다. 만물의 영장인 인간에게도 냄새가 있습니다. 인간의 채취는 의식주와 환경에 따라 생기는 냄새이고, 사람 냄새를 이야기할 때는 채취가 아닌 사람 됨됨이에서 풍기는 냄새를 말하며 우리는 그 것을 "인품(人品)" 이라하고 또는 인향(人香)이라 합니다. 옛날 부터 동양인들은 덕성(德性)과 지성(知性)을 겸비한 최고의 인격자를 가리켜 "군자(君者)" 라고 칭했고, 선비들은 철따라 피는 꽃 중에서 매화, 난, 국화, ..

좋은글 2025.07.09

" 채소섭취 하실때 주의하십시요! "

" 채소섭취 하실때 주의하십시요! " 🔴너무나 놀랍고 무서운 이야기이지만, 🔴꼭 알아야 할 중요한 소식입니다💥 이제 생 채소 먹을 계절이 다가왔으니, 정말 채소 잡수실 때 조심하셔야 합니다! 가족 모두에게도 알려 주시어 늘 건강 돌보십시요. 미나리를 식초물에 3회나 담근 다음, 3회 다시 흐르는 물에 씻어도 ’'새끼 거머리’'가 계속 발견된답니다.(3회세척 15마리). 🔴절대! 🔴절대! 미나리는 생식하지 마시랍니다. 외식때 생 채소를 들지 마십시요‼ 상추도 배추도 깻잎도 식초물에 씻어도 눈에 보이지 않는 충이 있습니다. 이제는 외식 때 무조건 생채소는 먹지 마십시요. (못 믿겠으면 인터넷 찾아 보세요.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충이 붙어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임재훈" 교수..

좋은글 2025.07.03

주한 미군 주둔하는 이유 바로 압시다

주한 미군 주둔하는 이유 바로 압시다 🌹우리나라가 세계 강국 6위란다. 부강한 국가되는 비결중 하나는, ‘가급적 많은 미군의 장기주둔이다 미군 주둔 세계 TOP5 국가 가운데 한국을 뺀 나머지 네 나라(일본, 독일, 이탈리아, 영궄)는 G7 멤버들이다. 해외주둔미군 규모가 큰 다섯 개 국가를 꼽으면 이렇다. (2020년, U.S. Defense Manpower Data Center 집계) 미군 주둔수를 살펴보면, 1위: 일본-5만 5165명 2위: 독일-3만 4674명 3위: 한국-2만 6184명 4위: 이탈리아-1만 2353명 5위: 영국-9,394명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해외 주둔 미군 병력은 '주일 미군' 이다. 1945년 이후, 77년째 주둔중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日本의 ..

좋은글 2025.06.29

진정한 스승의 모습

☘️진정한 스승의 모습🍀 한 젊은이가 길에서 어떤 노인 한사람을 만났습니다 젊은이가 노인에게 다가가서 물었습니다. "실례합니다 혹시 저를 기억하십니까?" “아니 모르겠는데” "제가 학창 시절에 선생님의 제자였어요" “아~ 그래요! 그럼 무슨 일 하고 있지?” “저도 교사가 되었습니다.” “아하, 멋진데. 나처럼 선생이 되에구먼” “예, 그런데 사실 제가 교사가 된 것은 선생님 때문 이었어요. 저도 선생님처럼 되고 싶었거든요.” 노인이 궁금해서 언제 선생이 되기로 결심했는지 묻자 청년이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했습니다. “어느 날 제 친구가 멋진 새 시계를 가지고 학교에 왔는데 그 시계가 너무 갖고 싶었어요. 그래서 그 시계를 제가 훔쳤어요. 잠시 후 그 친구가 시계를 잃어버렸다고 선생님께 말씀드..

좋은글 2025.06.28

이기면 손해 보는 싸움 5가지

이기면 손해 보는 싸움 5가지가 있습니다 1️⃣ '아내'하고 싸워서 이기면 반드시 손해 본다고 했습니다 💢아내가 가정(家庭)을 지옥(地獄)으로 만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 동료와 언쟁하거나, '자식(子息)'하고 싸워서 이기면 손해 봅니다. 💢동료는 섭섭이가 들어가고, 자식과 싸워서 이기면 자식이 곁길로 가던지 아니면 기(氣)가 죽기때문입니다. 3️⃣ '언론(言論)'하고 싸워서 이기면 손해 봅니다. 💢활자(活字)엔 마력(魔力)이 있기 때문이라는 말을 명심해야 합니다 4️⃣ ''국가(國家) 권력(權力)''하고 싸워서 이기면 손해 봅니다. 💢권력은 백성(百姓)이 위임(委任) 해 ..

좋은글 2025.06.16

오늘도 좋은 아침입니다

오늘도 좋은 아침입니다 사람의 천적은 바로 세월이라고 했습니다. 세월이 우리를 노려 보고 있습니다. 행복이 영원할 것 같지만 절대로 그렇지 않습리다. 세월은 오늘도 어디론가 우리를 데려가고 있습니다. 어느 누가 감히 시간의 흐름을 거역 할 수 있겠습니까? 아직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 역사에는 세월이 데리고 떠난 자가 다시 돌아온 적이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불노초를 찾아 헤메던 진시황제도, 천하 명의 허준도, 부귀영화를 다 누리던 솔로몬도, 세상을 정복한 영웅 나폴레옹도, 절세가인 양귀비도 지구상의 모든 영웅호걸들도 세월이 데리고 간 후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덧없고 무서운 것은 생노병사의 세월입니다. 세월 앞에서는 잘난 자도 못난 자도 예외가 없습니다. 요양병원에 ..

좋은글 2025.06.04

■ 나의 사랑하는 카톡벗님네여!!!

■ 나의 사랑하는 카톡벗님네여!!! 나에게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는건 얼마나 향기(香氣)로운 일이아니겠습니까! 나에게 그리운 사람이 내곁에 있음에 얼마나 즐거운 일이 아니겠습니까 보고싶은 사람이 있디는건 얼마나 행복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세상(世上)을 휘돌아 멀어져 가는 사람들 속에서 그리워지는 사람이 있다는 건 얼마나 다행(多幸)한 일이 아니겠습니까!! 그로 인하여 비어가는 인생길에 그리움 가득 채워가며 살아갈 수 있다는건 얼마나 반갑고 고마운 일이 아니겠습니까!! 가까이 또는 멀리 그리고 때로는 아주 멀리 보이지 않는 곳에서라도 카톡을 통해서 생각나고 아롱 거리는 그리워지는 사람이 있다는 건 아직 내가 살아 있다는 느낌을 주는 기쁜일이 아니겠습니까! 아! 그러한..

좋은글 2025.06.04

삶의 덕목(德目)과 인격(人格)

삶의 덕목(德目)과 인격(人格) ​불만(不滿)은 위를 보고 아래를 보지 못한 탓이요 오만(傲慢)은 아래를 보고 위를 보지 못한 탓입니다 ​곧 비우지 못한 욕심(慾心)과 낮추지 못한 교만(驕慢)으로 부터 자아(自我)를 다스리는 이 부족(不足)한 탓입니다. ​지혜(智慧)로운 사람은 남보다 내 허물을 먼저 볼 것이며. 어진 사람은 헐뜯기 보다 칭찬(稱讚)을 즐길 것입니다. ​마음의 평화(平和)는 비움이 주는 축복(祝福)이요, 영혼(靈魂)의 향기(香氣)는 낮춤이 주는 선물(膳物)입니다. ​말(言)이 하다고 곧 행동(行動)이 한 것은 아니며. ​얼굴이 곱다고 곧 마음씨가 고운 것도 결코 아닙니다. ​학문(學問)이 높다고 반드시 인격(人格)이 높은 것은 아니며. ​富(부)를 쌓았다고 반드시 德..

좋은글 2025.06.01

웃음의 힘

웃음의 힘 미국의 유명한 ' ‘토요리뷰’'의 편집인이기도 하며 ''웃음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하는 노만 카슨스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어느 날 러시아에 출장 갔다 온 후, 희귀한 병인 '‘강직성 척수염’'이라는 병에 걸린 것을 알았습니다. 이 병은 류마치스 관절염의 일종으로서, 뼈와 뼈 사이에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완치율이 낮은 병입니다. 그는 나이 오십에 이 병으로 죽는다고 생각하니 너무나 억울했는데 그 때 서재에 있는 몬트리올 대학의 ''한수 셀 리''가 지은 라는 책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는 책을 읽는 중에 '‘마음의 즐거움은 양약이다’'라는 말에 감동을 받았습니다. 그는 생갘하기를 ‘'아하, 가장 좋은 약은 마음의 즐거움에 있구나!’라고 생각하고 '‘나는 오늘부터 ..

좋은글 2025.05.28

행복(幸福)아란?

●행복(幸福)아란?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살아가는 까마귀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까마귀가 백조(白鳥)를 만나면서 회의감(懷疑感)이 생겼습니다. 백조의 흰색 자태가 너무나 곱고 아름답다고만 생각한 까마귀가 백조에게 물어보았습니다. “나는 새카맣게 생겼는데 당신은 그리 곱게 생겼으니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새임에 틀림이 없겠네요.” 그때 백조가 까마귀에게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나보다는 두 가지 색을 가진 앵무새가 더 행복하겠지요.” 까마귀는 앵무새를 찾아가 같은 말을 했습니다. 그러나 앵무새는 씁쓸한 미소를 지으며 한숨을 푹 내쉬었습니다. “정말 행복 했지요. 공작새를 만날때까지는행복했지요. 나는 두 가지 색깔밖에 없는데 수많은 현란한 색을 가진 공작새를 보고 나..

좋은글 202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