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평생
시 / 반칠환
요 앞,
시궁창에서
오전에 부화한 하루살이는
점심 때 사춘기를 지나고
오후에 짝을 만나
저녁에 결혼했으며
자정에 새끼를 쳤고
새벽이 오자 천천히
해진 날개를 접으며 외쳤다.
"춤추며 왔다가 춤추며 가노라!"
미루나무 밑에서 날개를 얻어
칠일을 산 늙은 매미가 말했다.
"득음도 있었고 지음이 있었다."
꼬박 이레 동안 노래를 불렀으나 한 번도 나뭇잎들이 박수를 아낀 적은 없었다.
칠십을 산 노인이 중얼거렸다.
"춤출 일 있으면 내일로 미뤄두고
노래할 일 있으면 모레로 미뤄두고
모든 좋은 일은
좋은 날 오면 하고 미뤘더니,
가뿐 숨만 남았구나."
그 즈음
어느 바닷가에선 천 년을 산 거북이가 느릿느릿 천 년째 걸어가고 있었다.
"모두 한평생이다!"
재미있고 해학적이지만
시사하는 바가 큰 詩다.
하루를 살았건 천 년을 살았건
한평생이다.
하루살이는
시궁창에서 태어나
하루를 살았지만
제 몫을 다하고 갔다.
춤추며 왔다가
춤추며 간다고 외쳤다니,
그 삶은 즐겁고 행복한
삶이었을 것이다.
매미는 7년을 넘게
땅 속에서 굼벵이로
인고의 시간을 보내고
7일을 살고 가지만
득음도 있었고 지음도 있었다니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
인간은 음을 알고
이해하는데 10년은 걸리고
소리를 얻어 자유자재로
노래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자면
한평생도 부족하다는데,
매미는 짧은 生에서 다 이루었다니
정말 대단하지 않은가.
사람은
기쁘거나 즐거운 일이 있어도
즐기지 못하고
모두 다음으로 미룬다.
모든 좋은 일은
좋은 날이 오면 하고 미뤘더니
가뿐 숨만 남았다니
이 얼마나 허망하고 황당한 일인가.
무엇이 그리 바쁜지
맹목적으로 허둥대며 살다가
후회만 남기고 가는 게
우리네 인생인가보다.
천 년을 산 거북이는
모든 걸 달관한 듯
세상에 바쁜 일이 없어 보인다.
느릿느릿 걸어도
제 갈 길 다 가고
제 할 일 다 하며
건강까지 지키니
천 년을 사나 보다.
그러니까
하루를 살던 천 년을 살던
허긴 모두가 일평생이다.
이 詩에서 보면
하루살이는 하루살이대로
매미는 매미대로
거북이는 거북이답게
모두가 후회 없는 삶인데
유독 인간만이
후회를 남기는 것 같다.
사람이 죽은 뒤 무덤에 가보면
껄 껄 껄 하는 소리가 난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다.
웃는 소리가 아니라
좀 더 사랑할 껄
좀 더 즐길 껄
좀 더 베풀며 살 껄
이렇게 껄껄껄 하면서
후회를 한다니
이 얼마나 어리석고 미련한 일인가.
일면,
재미있어 보이는 이 詩가
사람들에게 많은 교훈과
깨달음을 주고 있는 것 같다.
그렇지 않은가?
만물의 영장인 인간만이
깨달음을 알기까지
한 평생 살아도 모자라는
시사점을 주는 점,
이글 읽고
인생은 마음에 따라서
변하는 욕심이 아니겠는지
생각해 봤으면 좋겠다.
- 옮긴 글입니다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걷기,해부학적(解剖學的) 분석(分析) (1) | 2023.10.21 |
---|---|
개 팔자(犬 八字), 상 팔자(上 八字) (1) | 2023.10.19 |
믿지 못하면 손해보는 5cm의 기적 (0) | 2023.10.16 |
제목; 난장(亂場)판 (1) | 2023.10.14 |
1. 삶의 방정식 2. Are you Jesus? 3. 절망을 이겨낸 의지 (1)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