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反轉)의 사고(思考)
''마음이 편(便)하면
초가(草家)집도 아늑하고,
성품(性品)이 안정(安靜)되면
나물국도 향기(香氣)롭다.''는
말이있습니다
지혜(智慧)를 짜내려
애쓰기 보다는 먼저
성실(誠實)해야합니다.
사람의 지혜(智慧)가 부족(不足)해서
일에 실패(失敗)하는 일은 흔치않습니다.
사람에게 늘 부족(不足)한 것은
지혜(智慧)가 아니라
성실(誠實)입니다.
성실(誠實)하면
지혜(智慧)가 생기지만
성실(誠實)치 못하면
있는 지혜(智慧)도 흐려지고
실패(失敗)하는 법(法)입니다.
관심(關心)을 없애면
다툼이 없어질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다툼이 없으니
남남이 되고 말았습니다.
간섭(干涉)을 없애면
편(便)하게 살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외로움이 뒤쫓아 왔습니다.
바라는 게 없으면
자족(自足)할 줄 알았습니다.그러나
삶에 활력(活力)을 주는
열정(熱情)도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불행(不幸)을 없애면
행복(幸福)할 줄 알았습니다. 그러나 무엇이 행복(幸福)인지도
깨닫지 못하고 말았습니다.
나를 불편(不便)하게 하던 것들이
실(實)은 내게
필요(必要)한 것들이었습니다.
얼마나 오래 살지는
선택(選擇)할 수 없지만
보람 있게 살지는 내가
선택(選擇)할 수 있습니다.
결국(結局)
행복(幸福)도 선택(選擇)이고,
불행(不幸)도 나의 선택(選擇)입니다.
사람들에게 " + " 가 그려진
카드(card)를 보여주면,
수학자(數學者)는 '덧셈' 이라 말하고,
산부인과(産婦人科) 의사(醫師)는
'배꼽' 이라고 말하고,
목사(牧師)는
'십자가(十字架)' 라고 합니다.
그리고
교통경찰은(交通警察)
'사거리' 라고 말하고,
간호사(看護士)는
'적십자(赤十字)' 라고 했고,
약사(藥師)는 '녹십자(綠十字)' 라고 대답(對答)합니다.
모두가 다
자기(自己) 입장(立場)에서만
바라보기 때문에
대답이 다른것입니다.
한마디로
다른 사람이 '틀린' 것이 아니고,
'다르다는것' 뿐입니다.
그래서 사람은
비판(批判)의 대상이 아니라
이해(理解)의 대상(對象)입니다.
'틀림' 이 아니고
'다름' 의 관점(觀點)에서
서로를 이해(理解)할 수 있는
날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도 무더의 유의(留意)하시고.
행복(幸福)하시기 바랍니다.
카톡펌글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도복숭아 (0) | 2024.08.05 |
---|---|
이 별 (0) | 2024.08.02 |
대한민국 (0) | 2024.07.30 |
사랑할 사람만 있다면 ! (0) | 2024.07.29 |
♦️한국 좌파 사상의 위험성에 관하여 (1) | 202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