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5

한국인이 똑똑한 이유

한국인이 똑똑한 이유 한국인은 왜 똑똑할 까? 4가지 이유가 있다고 하네요 1. 젓가락 젓가락을 사용하는 민족들은 두뇌가 잘 발달하는데 특히 대한민국 국민들의 젓가락 사용이 탁월 하답니다 2. 한글 세종대왕이 만든 한글은 세계 최고 입니다 또한 한자도 함께 사용하고 있으니 타 민족과 비교가 안되는 문화가 발달 하였답니다 3. 사계절 봄, 여름, 가을, 겨울이 확실한 국민들은 다양할 체험을 통해 지능이 발달 한답니다 4. 근친혼 금지 일본은 4촌도 결혼하는 근친혼 풍습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8촌도 아닌 16촌도 결혼을 피하는 국가입니다 다향한 혼혈?은 우수한 민족을 만듭니다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미국과 근친혼을 기피하는 한국 두 나라에 천재?가 많은 이유 이랍니다 만사형통👍👍👍 짧은 인생 행복하게 건강하..

좋은글 2022.12.26

576돌 한글날

어제는 576돌 한글날이었습니다. 한글날은 훈민정음의 반포를 기념하고 한글의 독창성과 과학성을 널리 알리며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입니다. 그런데, 띄어쓰기도 없고 쉼표도 없고 마침표도 없는 글을 읽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답답합니다. 옛날 훈민정음을 보면 띄어쓰기가 안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당연한 띄어쓰기가 언제부터 시작했을까요? 놀랍게도 한 미국 선교사님의 노력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인보다 한국과 한글을 더 사랑했던 선교사님 호머 헐버트 (1863 ~ 1949) 박사님을 소개합니다. 1886년 7월 23세의 청년이었던 호머 헐버트는, 조선의 청년들에게 서양문화와 영어를 가르쳐 달라는 조선 정부의 요청을 받고 제물포를 통해 조선에 들어왔습니다. 수업을 위해 개인교사를 고용해 한글을 ..

좋은글 2022.10.11

한글날! 바뀐 철자법, 단어들

♥한글날! 바뀐 철자법, 단어들 01. 거에요 → 거예요 02. 구좌 → 계좌 03. 끝발 → 끗발 04. 나날히 → 나날이 05. 남여 → 남녀 06. 눈꼽 → 눈곱 07. 닥달 → 닦달 08. 대중요법 → 대증요법 09. 댓가 → 대가 10. 더우기 → 더욱이 11. 두리뭉실 → 두루뭉술 12. 뒤치닥거리 → 뒤치다꺼리 13. 뗄래야 → 떼려야 14. 만듬 → 만듦 15. 머릿말 → 머리말 16. 몇일 → 며칠 17. 바램 → 바람 18. 배개 → 베개 19. 비로서 → 비로소 20. 빈털털이 → 빈털터리 21. 상승율 → 상승률 22. 생각컨데 → 생각건대 23. 섥히다 → 설키다 24. 승락 → 승낙 25. 아니예요 → 아니에요 26. 아뭏든 → 아무튼 27. 안되 → 안 돼 28. 안밖 → 안팎..

좋은글 2022.10.10

세종대왕!, 한글!

아~! 세종대왕님! 중국인이 컴퓨터 자판을 치는 모습을 본다. 3만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어떻게 좁은 자판에서 칠까? 한자를 자판에 나열하는게 불가능해, 중국어 발음을 먼저 영어로 묘사(한어병음)해서 알파벳으로 입력한 다음에 단어 마다 입력 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건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개 정도는 보통이다. 그 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중국을 앞선 이유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속도가 빠르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한다. 일본인은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니 역시 ..

좋은글 2022.10.09

모음과 자음의 새로운 세계

*희망의 아침 시의 창* *한글날 특집* 문학/시 (한글 예찬) 모음과 자음의 새로운 세계 무엇이 아쉬워 새벽에 떠나지 못한 별들이 부서져내리는 듯한 빛살의 무늬 물결의 표면이 눈부신 대낮에 자음과 모음이 합성된 아름다운 언어의 교감은 찬란한 빛으로 물결 위에 노닐고 민초들의 눈망울을 초롱초롱 빛나게 한다 어려운 언어를 벗어나 모국어를 찾고 싶었던 겨레의 염원 수많은 선지식들이 밤을 새워 창조한 역사의 하늘에서 백의민족의 혈흔은 그저 붉기만 하다 세계 어느 언어보다도 화려하고 우수한 우리 모국어 어느 억압과 굴욕에서도 피어난 민족의 숨결 아직 남과 북으로 나눠진 땅에서도 사투리는 달라도 희망으로 꿈틀 거린다 외국어가 필요한 세상에서도 한글은 유난히 더 빛난다 모음과 자음의 만남은 음양으로 생명을 창조하는..

좋은글 202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