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의 아침 시의 창*
*한글날 특집* 문학/시
(한글 예찬)
모음과 자음의 새로운 세계
무엇이 아쉬워 새벽에 떠나지 못한 별들이
부서져내리는 듯한 빛살의 무늬
물결의 표면이 눈부신 대낮에
자음과 모음이 합성된
아름다운 언어의 교감은
찬란한 빛으로 물결 위에 노닐고
민초들의 눈망울을 초롱초롱 빛나게 한다
어려운 언어를 벗어나
모국어를 찾고 싶었던 겨레의 염원
수많은 선지식들이 밤을 새워 창조한
역사의 하늘에서
백의민족의 혈흔은 그저 붉기만 하다
세계 어느 언어보다도 화려하고 우수한
우리 모국어
어느 억압과 굴욕에서도 피어난 민족의 숨결
아직 남과 북으로 나눠진 땅에서도
사투리는 달라도 희망으로 꿈틀 거린다
외국어가 필요한 세상에서도
한글은 유난히 더 빛난다
모음과 자음의 만남은
음양으로 생명을 창조하는 우주
견우와 직녀가 만나 염원을 이루듯
우리 민족이 하나가 되려는 뜨거운 가슴
이 강산의 뚜렷한 4계절의 수채화
우리 토양에서 피어나는 영원한 약속의 꽃
민족의 혼이 하나로 합성된 사랑이다
~10집 석양의 들녘에서~
카 톡 펌 글
---------------------------------------------------------------
한글의 역사
- 1443년
- 세종(이도), 훈민정음(언문) 28자를 창제하다.(세종 25년)
- 1446년
- 세종, ‘훈민정음’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을 펴내다.(세종 28년)
- 1449년
- 세종, 직접 지은 찬불가인 《월인천강지곡》을 펴내다. 다른 책들과는 달리 한글을 크게, 한자를 작게 인쇄하다.(세종 31년)
- 1459년
- 세조, 《훈민정음》 해례본 가운데 세종대왕이 직접 지은 서문과 예의 부분만을 《월인석보》제1ㆍ2권 머리 부분에 실어 펴내다.(세조 5년)
- 1527년
- 최세진이 지은 《훈몽자회》에 한글 자모 이름이 최초로 기록되다.(중종 22년)
- 1687년
- 1687년~1692(?)년. 김만중, 《서포만필》에서 한글을 ‘국서(나랏글)’라 부르고, 《구운몽》 등의 한글소설을 쓰다.
- 1890년
- 헐버트 선교사,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전용 인문지리 교과서 《사민필지》를 출간하다.
- 1895년
- 고종, ‘국문’을 기본으로 하고 국한문 혼용을 허용하는 국문 칙령을 5월 1일에 반포하다.(내각에는 1894년 11월 21일에 지시)
- 1896년
- 서재필, 최초의 한글 신문 《독립신문》을 창간하다.(창간호는 《독닙신문》)
- 1896년
- 주시경, 국문동식회를 창립하여 오늘날 한글 맞춤법의 기초를 세우다.
- 1897년
- 이봉운, 《국문정리》를 펴내다.
- 1907년
- 국문 연구 기관인 국문연구소를 7월 8일에 학부에 설립하여 한글 맞춤법을 연구하다.(1909년 12월 28일 연구보고서인 <국문연구의정안>을 제출)
- 1908년
- 주시경이 힘써 8월 31일에 국어연구학회(회장: 김정진)를 창립하다.
- 1921년
- 조선어연구회 발기 대회를 열다.
- 1929년
- 이극로, 신명균, 이윤재, 이중건, 최현배 등의 주도로 조선어사전편찬회가 결성되어 우리말사전(조선말큰사전) 편찬사업을 시작하다.(이후 《큰사전》으로 발간)
- 1932년
- 조선어학회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학-언어학 학술지 《한글》을 창간하다. (1927년 2월 10일, 조선어연구회 동인지 《한글》 발간)
- 1933년
-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책으로 펴내 10월 29일에 공포하다.
- 1936년
- 표준어사정안인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발표하다.
- 1940년
- 경상북도 안동에서 세종이 1446년에 펴낸 《훈민정음》(해례본) 원본이 발견되다.(간송 미술관 소장)
- 1945년
- 해방 이후 최초의 공식 국어교과서인 《한글 첫걸음》이 9월에 발행되다.
- 1948년
- 국회에서 『한글전용법』이 통과되다.
- 1957년
- 한글학회, 《큰사전》 6권을 모두 펴내다.(1947년 첫째 권 출간)
- 1968년
- 한글전용 5개년 계획(국무회의)이 5월 2일에 의결되다.
- 1988년
- 한글전용 신문인 《한겨레신문》이 국민모금으로 5월 15일에 창간되다.
- 1991년
- 국립국어연구원(초대 원장 안병희)이 1월 23일에 설립되다.(2004년 ‘국립국어원’으로 명칭이 바뀜)
- 2005년
- 국어 발전과 진흥에 관한 기본 법령으로 『국어기본법』을 1월 27일에 제정하다.
- 2014년
- 국립한글박물관을 열다.
https://www.mcst.go.kr/usr/child/s_culture/korean/koreanCul.jsp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라는 존재(存在)와 그 가치(價値) (0) | 2022.10.09 |
---|---|
세종대왕!, 한글! (0) | 2022.10.09 |
카나다 교포가 제명위기의 이준석에게 보낸 격문 (0) | 2022.10.09 |
미친 교육내용! (0) | 2022.10.08 |
염일방일 (0)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