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심 2

[무관심은 독재를 부른다]

[무관심은 독재를 부른다]  "중도조차 사치가 되는 사회" 1. 지금 누리는 중도라는 사치 많은 국민이 스스로를 중도라고 칭하며 정치적 무관심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지금 대한민국에서 중도라는 입장은 더 이상 안전한 위치가 아니다.  독재 사회가 성큼 다가오고 있는 이 상황에서, 정치에 무관심하거나 중도를 표방하는 것은 사실상 독재와 탄압을 방조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지금 우리는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는 현실을 목격하고 있다.  법과 헌법이 무력화되고, 국가 공권력이 특정 정치 세력의 도구로 전락하는 모습은 단순한 정치적 갈등이 아니다.  이는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박탈하는 독재적 체제를 구축하려는 시도의 일환이다. '중도'라는 표현은 이미 사치가 되어버렸다.  독재가 시..

좋은글 2025.01.20

무관심 (indifference)

😂 무관심 (indifference) ※프랑스의 실존주의 문학가였던 알베르 까뮈(Albert Camus 1913-1960)의 소설 "전락"에 이런 내용이 있다. 주인공인 명망높은 변호사 (장바띠스뜨 클라망스)가 어느 날 세느강을 지나 집으로 가고 있을 때에 다리 난간에 기대어 슬피 울고 있는 한 여인을 보았다. 직감적으로 이 여인은 슬픔을 못 이겨 강물로 뛰어들 것이라는 예감을 느끼고 구원해야 겠다고 생각 하면서도.. 그 뒤에 야기될 여러 가지 귀찮은 일이 생각나 모른 척하고 지나쳐 버렸다. 다리를 다 지나왔을 때 풍덩하는 소리가 들렸고 사람들이 놀라서 몰려드는 것을 보면서도 빨리 서둘러 집으로 오고 말았다. 그렇게 이 사건은 지나갔고 잊혀져 버렸다. 그런데 문제는 언젠가 부터 클라망스는 강물 속에서 들..

좋은글 202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