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구하는 리더십(leader ship)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파리를 점령하고 있던 독일군은
연합군이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감행하자 퇴각(退却)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되었습니다.
궁지(窮地)에 몰린 히틀러(Hitler)는
프랑스 사람들의 자존심과도 같은
파리를 초토화(焦化)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었습니다.
독일군은 후퇴하면서 까지
파리 시가지를 불질러 놓고
물러 가겠다는 계획입니다.
나폴레옹이 잠들어 있는
앵발리드기념관에 2톤의 폭약을,
그리고 유서 깊은 노트르담 사원에는
3톤의 폭약을 장치해 놓았고 루부르 박물관 등 파리 곳곳의
유명한 유적들마다 각종 폭파 장치를
설치해 놓았습니다.
독일 총통 히틀러는
파리 주둔군 사령관인 디트리히 폰 콜티츠(Dietrich von Choltitz:1894~1966)중장에게,
''파리가 연합군에게 🍎점령되면,
후퇴할 때 파리의 모든 기념물과
주요 건물을 하나도 남김없이
폭파하라”는 지시를 내렸습니다.
파리에 있는 호텔 무리스(Murrid)는
매우 유서(由緖) 깊은 호텔입니다.
1944년 8월 독일군이
점령하고 있을 당시 독일군의 파리 사령부였던 곳으로서,
그 당시 이곳을 지키고 있던
콜티츠 중장은 히틀러로부터 파리를 불태워버리라는
히틀러의 명령을 받고서도
그는 명령을 무시한 채 이 호텔에 계속 머무르고 있었습니다.
1944년 8월 25일,
히틀러는 파리를 불태워버리라는
명령을 거듭 재촉하면서 곁에 있던 알프레트 요들장군에게
“파리는 불타고 있는가?” 하고
고함을 질렀습니다.
그러나 요들 장군은
얼굴이 새파랗게 질린 채
히틀러의 재촉에도 대답이 없었습니다.
파리 점령관이던 콜티츠 장군이
히틀러의 명령을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파리의 아름다운 풍경과
수많은 유적을 한 순간에
잿더미로 만들어 버릴 생각을 하니
인류와 역사에 씻을 수 없는
범죄를 짓는 것 같아
콜티츠는 도저히 명령을
내릴 수 없었던 것입니다.
그는 히틀러의 명령이나 지시보다는 하늘이 더 두려웠던 것입니다.
그리고
일단 결심을 굳힌 콜티츠는
중립국 스웨덴의 총영사인
노르드링크를 은밀히 불렀습니다.
그리고 노르드링크에게
“독일군폭파 스위치를 올리기 직전에 연합군이 파리를 공격하도록 하시오” 라고 부탁했습니다.
연합군이 파리를 향해 진격해오자 콜티츠의 부하가
집무실로 뛰어들어오면서
소리쳤습니다.
“장군님, 연합군이 곧
파리에 들이닥칠 것입니다.
파리의 모든 문화재와
건물을 파괴하려면 시간이 없습니다.
어서 폭파 명령을 내려주십시오.”
콜티츠 장군은 부하의 말을 뒤로 한 채 심각한 얼굴로 파리 시내를 내려다보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마음 속에서 들려오는
양심(良心)의 소리를 듣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도시를 파괴하지 말라고 하는
미세(微細)한 하늘의 음성이었습니다.
자기 말 한 마디면
노트르담 사원,
루브르 박물관,
콩코르드 등 온갖 유산이
산산조각이 날 운명이라는 것을
예술을 너무도 사랑하던 콜티츠는 너무나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바로 이 순간이야말로
하늘은 미래를 내다볼 줄 아는
리더인 콜티츠에게
애타게 메시지를 보내면서
설득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결국 그는 히틀러의 지시를 거부하고,
따르지 않기로 결심했고
마지막으로 자기 아내에게
전화를 걸어,
“여보, 나는 양심과 소신(所信)에 따라
행동했을 뿐이오” 라고 말했습니다.
아내와의 전화를 끝으로
콜티츠는 연합군에 의해 포로로 잡히게 됩니다.
맨 먼저 호텔로 뛰어든 것은
프랑스군의 칼세 중위 였습니다.
그는 로비에 들어서자마자
기관단총으로
히틀러의 초상을 향해 수 많은 총탄을 갈겨댔습니다.
한참 총을 난사한 후에 주변을 둘러보니고관들에게 둘러싸인
콜티츠가 보였습니다.
콜티츠는 모든 것을 각오한 듯
순순히 그의 손에 권총을 내놓았습니다.
파리 전체를 파괴하라는 추상 같은
히틀러의 명령을 어기면서까지
파리를 구한 그였지만,
프랑스 시민들은 냉담했습니다.
과격한 군중은
욕설을 퍼부으며 침을 내뱉고,
돌을 던지고,
머리를 낚아채어
마구 끌고 다니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콜티츠는
자신의 결정에 대해
단 한 번도 후회하지 않았습니다.
콜티즈 중장은
''히틀러에겐 배신자가 될지언정
인류의 배신자가 될 수는 없다'' 라며 파리의 수많은
문화유산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했고 명령에 불복종을 한 것입니다.
그는 전쟁이 끝난 후
전범으로 장기징역 언도를 받았으나
파리를 지킨 공로가 인정되어
2년만에 출옥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된 지
21년이 흐른 1966년 여름,
콜티츠가 독일의 바덴바덴에서
눈을 감았을 때
무덤 앞에는 파리를 구하기 위한
그의 노력에 대해 뒤늦게 감사하며
꽃을 바치려는 파리 시민들의
발길이 줄을 이었습니다.
에펠탑,
루브르 박물관,
노트르담 대성당,
루이 16세 궁전,
개선문 등
고적(古跡)들로 유명한
세계적인 도시 파리,
이처럼 파리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아름다운 도시가 되기까지는
히틀러의 반인륜적, 반문명적
명령을 거부하고
파리를 지켜낸 콜티츠의
용감한 결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콜티츠는 끝내
폭파 단추를 누르지 않는 용기와
미래를 보는 안목이 있었습니다.
히틀러에 대한 명령 불복종으로
죽음을 당할지도 모르는
위험한 행동이었지만
인류의 값진 문화 유산을 간직하고 있는파리를 파괴할 수는 없다는
용감했던 소신으로
명령을 거부했던 것입니다.
콜티츠는 상황(狀況)의 논리보다는
변치 않는 양심의 소리를 따른
위인(偉人)이라 하겠습니다.
그의 소신 있는 판단 덕분에
파리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도
파괴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유럽의 많은 도시들이
폭격으로 수 없이 파과되고 부서졌음에도 불구하고
파리는 여전히 찬란한 모습을
지금까지 자랑하고 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에
콜티츠는 적국(敵國)이었던 프랑스 국민들의 찬사를 받으며
남은 생애를 아름답고 보람있게
보낼 수 있었습니다.
우리도 살아가면서
많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됩니다.
이처럼 참으로 어려운
결단의 순간에 서게 될 때,
순간의 눈앞에 닥친
자신의 개인적인 이익을 좇지 않고
먼 미래를 내다보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늘 깨어 있으면서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진정한 지성을 갖춘 리더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사람의 눈으로 보기에는
멸망 직전의 독일과
모든 독일 군인들에게는
한 가닥의 희망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콜티츠에게도 역시
참담한 미래만 기다리고 있는 듯이
보였습니다.
수많은 전범자들과 함께
그의 앞에는 무서운 전범 재판이
기다리고 있는 것이 보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평소에
예술을 사랑하고
인류가 쌓아놓은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을 길러온
지성을 갖춘 콜티츠에게는
인류의 문화재와
예술에 대한 사랑과 열정으로
히틀러의 명령을 거부하게 할수 있는 능력과 신앙이 있었던 것입니다.
바로 그 순간에
파리는 절망에서 희망으로 바뀌고
콜티츠는 죄인에서 의인으로
환생(換生)하는 역전의 드라마가
연출된 것입니다.
절대적인 독재자 히틀러도
그의 심복 부하가 가진
예술과 인류에 대한 사랑과 열정을
식힐 수는 없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세상을 구하는
위대한 리더십이란것은
사람들에게
절망대신에 희망을 주는 것을 말하며,
이처럼 절망 속으로 떨어지는 순간에
희망으로 반전시킬 수 있는
하늘의 뜻과
이를 운전하시는
전지전능하신 그분의 능력을 인정하고 따르며 행동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오늘날의 과학기술이
군사력과
경제력과
생산도구
생활용품 등 우리의 모든 삶의
영역을 지배하는 힘이 되고
사회변화의 주역이 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가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으로
자연과학(自然科學)이나
과학기술(科學技術) 외에
인문학(人文學),
사회학(社會學),
예술(藝術),
음악(音樂),
신앙(信仰) 등
많은 분야(分野)가 있다는 것을
확연(確然)히 깨닫게 되는
대목이라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 🌾 🌾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수(怨讐)는 외나무 다리에서 만난다. (0) | 2023.06.19 |
---|---|
민병돈 장군 (0) | 2023.06.17 |
바우고개 (0) | 2023.06.14 |
루터먼을 아시나요 (0) | 2023.06.14 |
고정관념(固定觀念)에서 벗어납시다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