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퓰리즘 6

富國이 貧國으로 전락한 10개 국가~!?!

■富國이 貧國으로 전락한 10개 국가~!?!■ 받은글,231027 본글은 유튜브 강의 내용을 필자 스타일에 맞게 각색하였음을 알린다. ■●빈국으로 전락한 10개국~!?!●■ ● 10위 : 앙골라 앙골라는 제 2차대전 이전에는 포르투칼의 식민지였으나 2차대전이후에는 커피ㆍ다이아먼드ㆍ철광석 등을 수출하고 1960년 이후에는 원유까지도 수출하여는 등 한때 부국이었다. 그러나 1975~1991년까지 사회주의 정책으로 주요자산들을 국유화하고 여기에 1975~2002년까지 무려 27년간 내전 발생으로 경제는 폭망하였다. ※참고 앙골라 내전은 앙골라가 1975년 11월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후 즉시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미국ㆍ소련 등 강대국이 개입한 국제전이며, 공산주의 단체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과 반공을..

시사 2023.12.10

국가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국가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日本의 自殺이란 논문의 교훈을 새겨 들어야 한다 1975년 日本 월간지 문예춘추 (文藝春秋)에 한 편의 논문이 실렸다. 일본의 자살(自殺)이란 의미심장한 제목 아래 일군(一群)의 지식인 그룹이 공동 집필한 문건이다 필자들은 동서고금 제(諸)문명을 분석한 결과 모든 국가 가 외부의 적이 아닌 내부 요인때문에 스스로 붕괴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들이 찾아낸 국가 자살의 공통적 요인은 이기주의와 포퓰리즘(대중 영합)이었다. 국민들이 작은 이익만 추종 하고 지배 엘리트가 대중과 영합할 때 국가는 쇠망한다는 것이다. 수 십 년간 잊혀 졌던 이 논문은 몇 년 전 아사히 신문이 인용하면서 다시 유명해졌다. 논문은 로마제국 쇠락의 원인을 빵과 서커스로 요약했다. 로마가 번영을 구가하면서..

좋은글 2023.11.16

윤석열 대통령에게 바란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바란다 - 2편 ▶하봉규의 영웅본색 (유튜브에서 보기) https://youtu.be/zQpBpNfrXrY "한국에는 두 인종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라" 흔히 직업상 사람을 두 종류로 분류하기도 한다고 한다. 연예인들은 연예인과 일반인으로, 군인은 군인과 민간인으로, 검사는 피의자(범죄자)와 일반인으로 분류한다는 것 등이다. 문재인 정권을 겪으면서 한국에는 두 종류의 인간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한국에는 한국인과 조선인이란 두 종류의 인간이 있다. 전자는 한국의 역사와 정체성을 사랑하고 양식과 도덕에 기초한 인류의 지성을 존중하는 사람들이다. 그리고 또 다른 유형(후자)은 이와 반대로 국가나 인류에 대한 기본적 태도도 결여되어 있고 대개 게으르고 거짓을 근간으로 이기적인 족속들..

좋은글 2022.10.05

586 운동권을 하루아침에 ‘꼰대’로 전락시킨 '젊은 피'의 힘

??586 운동권을 하루아침에 ‘꼰대’로 전락시킨 '젊은 피'의 힘 이준석 돌풍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1993년 문민정권 등장 이래 단 한 번의 세대교체 없이 끼리끼리 편 갈라 해먹는 정치판을 혁신하라는 유권자들의 경고다. #. 이준석 현상 1985년생 정치인의 행보가 연일 화제다. 그가 과거에 무슨 일을 했든, 무슨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켰든 했든 그의 등장으로 인해 달라진 점은 '국민의 짐'으로 전락한 제1야당 대표 경선을 사회적 이슈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전적으로 이준석의 공이다. 지금까지 '국민의 짐'당에서 정치인이 되려면 지역 토호세력이거나, 빵빵한 집안에서 태어나 부모 음덕으로 호의호식하며 유학 다녀온 귀공자이거나, 고시 패스하여 판검사·변호사로 소일하다 입문하는 것이 기본..

좋은글 2021.06.12

국가(國家)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국가(國家)는 어떻게 망(亡)하는가? 日本의 自殺이란 논문의 교훈을 새겨들어야 한다 1975년 日本 월간지 문예춘추(文藝春秋)에 한 편의 논문이 실렸다. 일본의 자살(自殺)이란 의미심장한 제목 아래 일군(一群)의 지식인 그룹이 공동 집필한 문건이다 필자들은 동서고금 제(諸)문명을 분석한 결과 모든 국가 가 외부의 적이 아닌 내부 요인때문에 스스로 붕괴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 들이 찾아낸 국가 자살의 공통적 요인은 이기주의와 포퓰리즘(대중 영합)이었다. 국민들이 작은 이익만 추종 하고 지배 엘리트가 대중과 영합할 때 국가는 쇠망한다는 것이다. 수 십 년간 잊혀 졌던 이 논문은 몇 년 전 아사히 신문이 인용하면서 다시 유명해졌다. 논문은 로마제국 쇠락의 원인을 빵과 서커스로 요약했다. 로마가 번영을 구가하..

좋은글 2021.05.25

"폼프리포사"가 되는 한국인

"폼프리포사"가 되는 한국인 국가의 과보호정책으로 개인이 세상 살 의욕을 잃고 무기력 하게 살아가는 식물인간(植物人間)을 일러 폼프리포사라 하는데 이 말은 스웨덴 작가 린드 그레인 여사의 동명의 풍자소설에서 비롯하고 있다. 동화작가 폼프리포사는 복지서비스의 보호를 받고 걱정 없이 살고 있다. 그런데 날로 국가 공공 복지서비스 범위가 넓어져 가면서 세(稅) 수입이 필요하게 되니까 세금부담이 점점 무거워져 간다. 작가 폼프리포사가 쓰는 작품의 수입 절반이 세금으로 나가자 글을 쓸 의욕이 점점 쇠퇴해 가는데, 게다가 누진소득세율까지 적용돼 수입의 102%를 세금으로 뜯긴다. “이런 나라는 열심히 소설을 써서는 안되는 나라”라는 절망으로 글 쓰는 걸 그만두고 생활 보호금만을 받고 삽니다. 식물(植物)처럼 사는 ..

좋은글 2020.09.07